< 이 글은 책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에서 발췌한 내용을 인용했습니다. >
음료수 얼려 먹기
N * M 크기의 얼음 틀이 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은 0, 칸막이가 존재하는 부분은 1로 표시된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끼리 상, 하, 좌, 우로 붙어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얼음 틀의 모양이 주어졌을 때 생성되는 총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조건>
- 첫 번째 줄에 얼음 틀의 세로 길이 N과 가로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M <= 1,000)
- 두 번째 줄부터 N + 1 번째 줄까지 얼음 틀의 형태가 주어진다.
- 이때 구멍이 뚫려있는 부분은0, 그렇지 않은 부분은 1이다.
<출력조건>
- 한 번에 만들 수 있는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출력한다.
<무지성 코드>
# 실패..
<답안 예시>
n, m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i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split())))
def dfs(x, y):
if x <= -1 or x >= n or y <= -1 or y >= m:
return False
if graph[x][y] == 0:
graph[x][y] = 1
dfs(x - 1, y)
dfs(x + 1, y)
dfs(x, y - 1)
dfs(x, y + 1)
return True
return False
resul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dfs(i,j) == True:
result += 1
print(result)
dfs를 아래와 같이 이용해 문제를 풀 수 있었다.
- 특정한 지점의 주변 상, 하, 좌, 우를 살펴본 뒤에 주변 지점 중에서 값이 '0'이면서 아직 방문하지 않은 지점이 있다면 해당 지점을 방문한다.
- 방문한 지접에서 다시 상, 하, 좌, 우를 살펴보면서 방문을 다시 진행하면, 연결된 모든 지점을 방문할 수 있다.
- 1~2번의 과정을 모든 노드에 반복하며 방문하지 않은 지점의 수를 센다.
나는 dfs라는게 무조건 인접행렬이나 인접리스트의 형태에서부터 시작해야한다고 오해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냥 깊이 우선 탐색의 방식을 따르면 되는 것이었다. 앞으로 다양한 dfs문제들을 접해보면서 이 유형에 더 익숙해져야겠다.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6 정렬 - 선택 정렬 (0) | 2023.01.23 |
---|---|
Chapter 5-4 미로 탈출 (0) | 2022.12.22 |
Chapter 5-2 탐색 알고리즘 DFS/BFS (0) | 2022.12.20 |
Chapter 5-1 DFS/BPS (0) | 2022.12.20 |
Chapter 4-3 게임 개발 (0) | 2022.12.12 |